50대 여성 A씨는 2년 전부터 얼굴로 열이 달아오르고, 입이 마르며, 땀이 많이 나고, 두피가 후끈거리면서 모발이 가늘어지고 탈모가 심해지게 되었다. 40대 초반부터 흰머리가 많아서 2달마다 염색을 하였다. 뒷목이 뻣뻣하며 어깨결림이 있고, 편두통이 있어서 머리에 찌르는 듯한 통증이 있었다. 그러면서 두피가 가렵고 머리 감을 때와 말릴 때 뿐만 아니라 평소에도 머리를 만지면 모발이 술술술 빠지면서 마음이 우울하게 되었다.
갱년기 탈모란 난소의 기능이 쇠퇴하여 여성생리의 상징이라 할 수 있는 월경이 멈추고 임신이 불가능해지기까지의 10년간의 갱년기 시기에 찾아오는 탈모증상을 말한다. 갱년기에는 상열감, 흥분, 심계항진, 어깨결림, 어지러움증, 두통, 안면홍조, 불면, 불안, 요통, 신경통, 소변을 자주 봄, 식은 땀, 질 위축, 원형탈모증, 신경이 예민해짐, 우울감, 피로감, 짜증스러움, 건망증, 집중력 감퇴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갱년기 탈모와 관련이 많은 것은 상열감과 어깨결림이다. 상열감이 있으면 두피의 혈액과 진액을 마르게 하여 모근으로 가는 혈류량이 감소되어 모발이 가늘어지고 탈모양이 증가한다. 어깨결림이 있으면 두피, 눈, 뇌, 안면으로의 혈액순환장애가 생겨 두피로 가는 혈류량이 감소되어 모발의 영양분이 부족해져서 탈모가 된다. 또한 갱년기 탈모가 증가하는 이유는 40대 이후에 흰머리가 늘어나면서 자주하게 되는 염색과 여성들의 사회활동이 늘어나면서 지나친 무스, 젤 등을 사용하는것, 무리한 다이어트, 탈모를 가리기 위한 가발과 모자를 쓰는 것과도 관련이 많다.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 정책연구원은 최근 7년 동안의 탈모로 진료받은 환자수가 60% 증가했다고 밝혔다. 특히 50대 이상 된 여성 환자가 2001년에는 3693명에서 2008년 10938명으로 세 배 가까이 늘어났다.
동의보감에서는 혈액이 부족하며 열이 화끈 달아오르고, 식은 땀이 나는 등의 갱년기 증상을 치료하기 위하여 백작약, 백출, 지모, 지골피, 당귀, 생지황, 치자, 황백, 감초 등으로 구성된 가미소요산을 처방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A씨의 경우 탈모를 치료하는 하수오, 복분자, 상심자, 한련초와 상열감을 치료하는 시호, 황금, 황련을 처방하고 어깨결림을 치료하기 위하여 강활, 방풍, 천궁을 처방하였다. 두피를 치료하는 약침을 15회 시술하였을 때 새로운 모발이 올라오고 탈모량이 50%이상 감소되었으며 상열감도 많이 사라지면서 우울하던 마음도 많이 회복되었다.
갱년기가 되어 생리가 끊어지면서 몸에 이상이 생기면 여성으로서의 상실감과 우울한 마음을 갖게 되는데, 갱년기는 다시 새로운 삶을 시작하는 시기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우선은 긍정적인 마음으로 지금의 상황을 받아들이고 규칙적인 식사와 적절한 운동, 충분한 수면, 가족이나 친한 사람과의 대화를 통하여 갱년기를 슬기롭게 지내는 것이 좋다. 아울러 갱년기가 되면 젊을 때에 비하여 두피가 약해지고 모발도 가늘어지므로 지나친 염색이나 파마, 헤어용품 사용, 무리한 다이어트 등을 자제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이렇게 관리를 잘 하여도 노화가 진행되면서 탈모가 더욱 진행이 되면 모자나 가발로 가리는 것보다는 적극적으로 치료하여 탈모가 줄어들게 하고 두피가 건강하여 모발이 굵어져서 탈모의 염려에서 벗어나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