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한의원소개 > 원장컬럼 |
|
|
|
|
 |
|
[탈모 동의보감] 탈모와 경락② 족양명위경(足陽明胃經) |
 |
 |
2012-06-18
|
 |
 |
 |
21,273 |
|
|
|
글·강대희 원장(구리시 약침한의원)
[쿠키 건강칼럼] 족양명위경은 위가 주관하는 경맥으로 위(胃)에 소속되고 비(脾)로 연결돼 표리관계를 이룬다. 기시혈(起始穴)은 승읍(承泣 : 눈동자에서 아래로 0.7촌)이며 종지혈(終止穴)은 여태(?兌 : 두 번째 발가락 끝의 바깥쪽)이며 45개의 경혈이 있다.
위는 식도와 소장사이에 있는 J자 모양의 주머니처럼 부풀어있는 소화관의 일부를 말한다. 국내 성인의 평균용량은 남자 1407㏄, 여자 1275㏄ 정도다. 위는 음식물을 3~5시간에 걸쳐 소화해 죽처럼 만들어 십이지장으로 보낸다.
위의 중요한 생리기능은 음식물을 받아 일차적으로 소화하는 것이다. 음식물은 입으로 섭취돼 식도를 지나 분문을 통해 위로 들어간다. 위에서 소화된 음식물은 아래의 소장으로 보내져 정밀하게 소화된다.
한의학에서 비위는 혈액 생성과 가장 밀접하게 연관된 장부다. 위가 건강해 음식물을 충분히 섭취하면 혈액도 충분히 만들어져 두피와 모발에 충분히 영양을 공급해 모발이 굵고 윤기가 난다.
하지만 선천적으로 위가 약하거나 지나친 스트레스, 과식이나 폭식, 야식, 무리한 다이어트, 차가운 음식, 기름진 음식, 과음 등으로 인해 위가 손상되고 약해지면 식욕부진, 소화불량, 구토, 트림, 복통, 무기력, 속쓰림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위가 약해져 음식물을 받아들이는 기능이 약화되면 생성하는 혈액량이 부족하게 된다. 이에 따라 두피로 가는 혈류량이 적어져 두피는 얇고 딱딱해지며 모발이 가늘어지고 탈모가 증가하는 것이다. 이러한 영양결핍이 있을 경우 앞머리 부위부터 먼저 모발이 가늘어지고 탈모가 시작되는 경우가 많다.
◇두유(頭維) : 족양명위경은 승읍혈에서 시작, 아래로 내려와 입 주위를 거쳐 위로 귀 앞을 지나 두유혈을 거쳐 독맥의 신정혈(백회혈에서 앞으로 4.5촌, 앞머리 헤어라인에서 0.5촌에 위치)에 다다른다. 좌우 두유혈 간의 거리는 9촌이다. 두유혈은 족양명위경의 8번째 경혈로 양쪽 이마 끝에서 두피가 시작되는 부위에서 위로 0.5촌에 위치한다.
두유혈을 지나는 혈관은 천측두동맥이다. 두유혈은 앞머리부위로 혈액순환이 잘 되게 하며 위열(胃熱)을 떨어뜨리고 머리를 맑게 하며 눈을 밝게 하는 효능이 있다.
위열이 있으면 땀을 많이 흘리고 찬물을 많이 마시며 피지의 분비도 왕성해 지루성 두피인 경우가 많다. 입냄새, 변비, 잇몸출혈, 속쓰림, 갈증이 있으며 맥은 빠른 편이다. 두유혈은 앞머리 탈모 외에도 두통, 눈의 피로, 눈꺼풀경련, 어지럼증, 안면신경마비 등을 치료한다.
두유혈은 M자형 탈모인 경우와 위와 연결된 경혈이므로 위가 약해 소화불량이 있으면서 탈모가 나타나는 경우, 위열 증상이 있으면서 나타나는 탈모에 효과적이다.
◇내정(內庭) : 내정혈은 족양명위경의 44번째 경혈로 2,3번째 발가락이 갈라지는 부위의 들어간 곳이다. 내정혈을 지나는 혈관은 배측중족동맥(背側中足動脈)이다.
족양명위경은 두유혈과 앞머리 헤어라인 부위를 지나기 때문에 M자형 탈모나 앞머리 탈모에 침을 시술하거나 마사지한다. 또 내정혈은 위기(胃氣)를 통하게 하며 소화불량을 치료하고 진통시키는 효능이 있어 식욕부진과 소화불량으로 인한 탈모, 복통, 위염, 소화불량, 치통, 구안와사, 설사, 두드러기 등을 치료한다.
◇중완(中脘) : 중완혈은 임맥(任脈)의 12번째 경혈로 배꼽에서 위로 4촌에 위치한다. 중완혈은 위와 가까이 위치하며 위기(胃氣)가 모여드는 경혈이다. 족양명위경과 임맥이 만나는 경혈로 비위질환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경혈 중 하나다.
중완혈을 지나는 혈관은 상복벽동맥(上腹壁動脈)이다. 중완혈은 위기(胃氣)를 건강하게 하며 비위를 다스리고 기의 승강(升降)을 조절한다. M자형 탈모와 식욕부진과 소화불량으로 인한 탈모, 만성위염, 위궤양, 위경련, 소화불량, 위하수, 위통(胃痛), 구토, 설사, 변비, 두통, 비위허약, 장염, 구토 등을 치료한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