족태양방광경은 방광에 소속되고 신(腎)에 연결되어 표리관계를 이룬다. 기시혈(起始穴)은 정명(睛明 : 目內眥外 0.1촌)이며 종지혈(終止穴)은 지음(至陰 : 5번째 발가락 발톱의 바깥쪽)이며 머리부위에서 시작하여 다리부위로 유주하며 좌우 각각 67개의 경혈이 있다.
방광은 소변의 저장과 배출을 담당하는 속이 빈 주머니 같은 근육기관이다. 골반내 치골결합 뒤쪽에 위치한다. 방광은 체부(體部), 정부(頂部), 저부(底部)로 나뉘며 아래로는 요도, 위로는 요관과 연결된다. 방광의 용량은 성인 남자의 경우 약 600㎖이고 최대용량은 약 800㎖인데, 여성은 남성의 6분의 5라고 한다. 보통 방광의 내용물이 250~300㎖이고 내압이 150㎜Hg 정도가 되면 요의(尿意)를 느낀다.
노인의 신기허쇠(腎氣虛衰)나 중년의 방로과도(房勞過度)나 구병체허(久病體虛) 등으로 신기(腎氣)가 손상되고 방광이 허한(虛寒)해지면 방광의 저장, 배출 기능이 허약해진다. 방광허한하면 소변을 자주 보며, 소변을 참지 못하고, 소변이 힘이 없으며, 하지무력(下肢無力), 손발이 차고, 요통, 얼굴이 창백하며 족태양방광경이 지나는 미충, 곡차, 오처, 승광, 통천, 낙각, 천주 부위의 모발이 가늘어지고 잘 자라지 않고 탈모가 될 수 있다.
◇미충(眉衝) : 족태양방광경의 3번째 경혈이며 신정혈( 앞머리 헤어라인 중앙에서 위로 0.5촌에 위치 )에서 바깥쪽으로 0.75촌에 위치한다. 앞머리 탈모, 두통, 어지러움증, 비염, 축농증, 눈충혈 등을 치료한다.
◇곡차(曲差) : 족태양방광경의 4번째 경혈로 독맥의 신정혈에서 바깥쪽으로 1.5촌에 위치한다. 열을 떨어뜨리며 머리를 맑게 하고 눈을 밝게 하는 효능이 있다. 앞머리 탈모, 두통, 어지러움증, 안병(眼病), 코막힘, 비염, 코피, 안면신경통, 항강증 등을 치료한다.
◇오처(五處) : 족태양방광경의 5번째 경혈로 곡차혈에서 위로 0.5촌에 위치한다. 열을 떨어뜨리며, 머리를 맑게 하고, 눈을 밝게 하는 효능이 있다. 앞머리 탈모, 두통, 어지러움증, 안병(眼病), 비염, 코피, 견비통, 척주상통(脊柱上痛), 전간(癲癎) 등을 치료한다.
◇승광(承光) : 족태양방광경의 6번째 경혈로 곡차혈에서 위로 2촌에 위치한다. 머리를 맑게 하고 눈을 밝게 하는 효능이 있다. 앞머리 탈모, 두통, 어지러움증, 비염, 코막힘, 안병(眼病), 안구통(眼球痛), 원시, 각막염, 구토 등을 치료한다.
◇통천(通天) : 족태양방광경의 7번째 경혈로 승광혈에서 뒤로 1.5촌에 위치하며 백회혈에서 바깥쪽으로 1.5촌에 위치한다. 정수리탈모, 두통, 어지러움증, 비염, 코막힘, 코피, 안면신경통, 천식, 구안와사 등을 치료한다.
◇낙각(絡卻) : 족태양방광경의 8번째 경혈로 통천혈에서 뒤로 1.5촌에 위치한다. 정수리탈모, 후두통(後頭痛), 이명, 백내장, 전광(癲狂), 구토 등을 치료한다.
◇옥침(玉枕) : 족태양방광경의 9번째 경혈로 낙각혈에서 아래로 3촌에 위치한다. 후두통(後頭痛), 항강증, 어지러움증, 목통(目痛), 목시불청(目視不淸), 코막힘, 구토 등을 치료한다.
◇천주(天柱) : 족태양방광경의 10번째 경혈이며 제2경추극상돌기상연(頸椎棘上突起上緣)에서 바깥쪽으로 1.5촌에 위치한다. 어깨결림이 있으면서 나타나는 탈모에 많이 사용되며, 두통, 편두통, 항강증, 고혈압, 코막힘, 견갑통(肩胛痛), 정신병, 설사, 안비인후(眼鼻咽喉)질병 등을 치료한다. 평소에 이 경혈을 안마하면 정신이 상쾌하여지고 기억력을 증강시킨다.
◇신수(腎兪) : 족태양방광경의 23번째 경혈로 제2요추극돌하(腰椎棘突下)에서 바깥쪽으로 1.5촌에 위치한다. 신수혈은 신장의 기(氣)가 신수혈에 수주(輸注)되며 신정(腎精)을 보충하는 효능이 있기 때문에 탈모치료에 효과적이다.( 모발의 건강은 신정(腎精)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신정이 충분할 경우 모발이 윤기가 나며 흑색을 띠게 되고 신정이 부족하면 모발이 가늘어지고 빠진다.) 신수혈은 신장염, 신허요통(腎虛腰痛), 조루(早漏), 월경불순, 자궁염, 두통, 소화불량, 신경쇠약, 빈뇨(頻尿), 이명 등을 치료한다.
◇방광수(膀胱兪) : 족태양방광경의 28번째 경혈로 제2선추극돌기하(仙椎棘突起下)에서 바깥쪽으로 1.5촌에 위치한다. 방광수는 방광의 기(氣)가 전수(轉輸), 수주(輸注)되는 경혈로 방광을 조리(調理)하는 효능이 있어 방광염, 유뇨(遺尿), 요실금, 비뇨생식계질병(泌尿生殖系疾病), 소변적삽(小便赤澁) 등을 치료한다. 이 외에 요통, 당뇨병, 변비, 장염, 자궁내막염, 좌골신경통, 각슬무력(脚膝無力) 등을 치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