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루성탈모로 필자를 찾은 30대 여성 L씨는 컴퓨터를 많이 하는 사무직 여성이다. 추위를 많이 타며 손발이 차다. 위염이 있어 속이 더부룩하고, 체하기를 자주 한다. 컴퓨터를 많이 하다보니 뒷목이 뻣뻣하고 어깨가 자주 결리곤 하였다.
평소 햄버거, 치킨, 튀김, 라면, 돼지고기, 햄 등 기름진 음식을 자주 먹었다. 더위를 많이 타며 얼굴로 상열감이 많은 체질이다. 직장에서 스트레스를 많이 받다보니 상열감이 심해지고 얼굴에는 화농성 여드름이 많이 생기게 되었다. 정수리 백회혈 부위로 두피가 빨갛고, 뜨끈뜨끈하고, 기름기가 많고, 뾰루지가 많이 나고, 가렵고, 모발이 가늘어 지더니 머리를 감을 때와 말릴 때에 머리가 많이 빠져서 필자를 찾았다.
지루성탈모란 피지선에 문제가 생겨 피지의 분비량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하고, 증가한 피지가 두피 내 모공을 막아 영양공급 및 순환기능이 저하돼 나타나는 탈모증상을 말한다. 두피에 대개 열감이 있고 붉은 기가 있으며 염증을 보이고, 기름기가 많으며 비듬이나 각질이 동반되면서 따갑거나 가려움증이 발생하는 지루성두피염이 원인이 돼 나타난다. 심한 경우 노화된 각질과 피지 노폐물이 두피 전체를 덮게 되며 심한 통증과 악취를 동반할 수 있다. 주로 정수리 부위에 뾰루지가 많다. 스트레스, 과음, 수면부족, 지나친 야근, 기름진 음식, 매운 음식을 지나치게 많이 먹으면 우리 몸에 과도한 열을 발생시키고 두피에 열독(熱毒)을 유발해 두피에 지루성피부염이 나타난다. 열독은 두피의 진액과 혈액을 마르게 해 두피로 가는 혈류량을 감소시킨다. 이에 따라 모발의 영양분이 부족해져 모발이 가늘어지고 탈모가 발생하거나 염증, 비듬이 나타난다. 열독으로 지루성탈모가 생기면 열이 위로 올라가려 하는 특징 때문에 인체의 최상부인 정수리 부위로 열이 달아오르고 정수리 부위에 뾰루지가 많이 생긴다. 정수리부위 지루성탈모를 치료할 때는 열독을 치료하며 소염작용이 있는 한약을 사용한다. 포공영, 금은화, 황금 등을 사용한다.
포공영(蒲公英)은 국화과에 속한 다년생 초본인 민들레의 전초(全草)다. 성질은 차가우며 맛은 쓰고 달다. 간과 위의 경락에 작용한다. 포공영은 성질이 차갑고 맛이 쓰고 달아서 열독(熱毒)을 해독(解毒)하고, 옹종(癰腫)을 치료해 지루성탈모, 여드름 등을 치료한다. 금은화(金銀花)는 인동과에 속한 인동의 꽃봉오리를 건조한 것이다. 성질은 차가우며 맛은 달다. 금은화는 성질이 차가워 열을 떨어뜨리고 해독(解毒)시키는 효능이 있어 지루성탈모의 열독창옹(熱毒瘡癰)을 치료한다. 황금(黃芩)은 꿀풀과에 속한 황금의 뿌리를 건조한 것이다. 성질은 차가우며 맛은 쓰다. 사실화(瀉實火), 제습열(除濕熱)의 효능이 있어 옹종정창(癰腫疔瘡), 장열번갈(壯熱煩渴) 등을 치료한다. 정수리부위 지루성탈모를 치료하는 경혈은 백회, 통천, 대추 등이 있다.
백회(百會) : 백회는 독맥의 20번째 경혈로 양귀 끝을 직상으로 연결하는 선과 머리를 지나는 정중앙선이 교차하는 정수리 중앙부위를 말한다. 백회혈의 효능은 열을 떨어뜨리고 정신을 맑게 하며 양기를 끌어올린다. 백회혈은 지루성탈모, 정수리탈모 이외에 두통, 이명, 코막힘, 치질, 변비, 중풍 등을 치료한다.
통천(通天) : 족태양방광경의 7번째 경혈로 승광혈에서 뒤로 1.5촌에 위치하며 백회혈에서 바깥쪽으로 1.5촌에 위치한다. 통천혈은 머리를 맑게하는 효능이 있으며, 지루성탈모, 정수리탈모, 두통, 어지러움증, 비염, 안면신경통, 천식, 구안와사 등을 치료한다.
대추(大椎) : 대추혈은 독맥의 14번째 경혈로 제7경추와 제1흉추 사이에 위치한다. 대추혈은 열을 떨어뜨리고 기를 조절하며 정신을 평안하게 하고 강장(强壯) 등의 효능이 있다. 대추혈은 지루성탈모 이외에 습진, 급성열병, 고열, 기침, 항강증, 두통, 구토, 신경쇠약 등을 치료한다.
정수리부위 지루성탈모에 주로 사용하는 약침은 소염(消炎)이다. 소염의 처방구성은 포공영, 금은화, 연교, 생지황, 황련, 황금, 황백, 치자 등의 한약재로 구성된다. 열독을 해독하고, 소염작용이 있어 비듬, 염증, 기름기, 가려움증, 발적, 열감을 치료하기 때문에 붉은 두피가 하얗게 되고 시원한 느낌이 나며 지루성탈모를 근본적으로 치료한다.
정수리부위 지루성탈모가 있으면 정수리부위에 뾰루지가 많고 두피가 붉고 모발이 가늘어지고 두피가 비치기 때문에 여간 신경 쓰이지 않는다. 1일 1회 머리를 감는다. 심한 지성두피인 경우 아침저녁으로 1일 2회 감고 운동 등으로 땀을 많이 흘렸을 때는 바로 머리를 감는다. 기름진 음식, 매운 음식, 밀가루 음식, 과음 등은 절제한다. 적당한 운동은 두피의 혈액순환을 촉진하며 노폐물을 배출하고 스트레스 해소에 좋다. 특히 도움이 되는 운동은 물구나무서기, 줄넘기, 걷기, 달리기, 맨손체조 등이다. 한의학은 원인 치료에 장점이 있는 만큼 탈모전문 한의원을 찾아 간절한 마음으로 오장육부를 건강하게 하고, 원인을 치료하고, 지루성피부염을 치료하면 지루성탈모와 가려움증에서 해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