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한의원소개 > 언론속의약침한의원 |
|
|
|
|
 |
|
[국민일보 기획연재-쿠키 건강칼럼] [탈모 동의보감] 탈모를 치료하는 한약 ➅ 우슬(牛膝)-쇠무릎 |
 |
 |
2010-05-17
|
 |
 |
 |
2,883 |
|
|
 |
업데이트 : 2010-05-13 08:46:38 |
[탈모 동의보감] 탈모를 치료하는 한약 ➅ 우슬(牛膝)-쇠무릎 | |
글·강대희 원장(구리시 약침한의원)
[쿠키 건강칼럼] 우슬은 줄기의 마디가 소의 무릎처럼 두드러지게 튀어나와 ‘쇠무릎’이라고도 부른다. 동의보감에는 무릎관절에 통증이 있으면서 굽히거나 펴기 힘든 증상을 치료한다고 기록돼 있다.
우슬은 비름과에 속하는 다년생풀인 쇠무릎의 뿌리를 말린 것이다. 우리나라 각지의 산기슭과 길섶, 들판에서 자라며 심기도 한다. 가을에 캐서 물에 씻어 햇볕에 말린다. 성질은 뜨겁거나 차갑지 않고 평(平)하며 맛은 쓴맛과 신맛을 가진다. 신장과 간장의 경락에 작용한다.
방약합편에는 “우슬의 맛은 쓰다. 저린 증상을 치료한다. 정(精 ; 생명의 발생과 그 활동을 유지하는 데 기본이 되는 물질)을 보충하며 다리를 건강하게 한다. 유산을 시킬 수 있고 어혈을 치료한다”고 설명돼 있다.
또 동의보감에는 “우슬의 성질은 평(平)하며 맛은 쓴맛과 신맛을 가진다. 하지저림, 무릎관절통, 남자의 소갈을 치료한다. 골수를 보충하며 음의 속성을 가진 기에 이로우며 모발이 희는 것을 방지한다. 요통을 치료하며 유산시킬 수 있고 월경을 통하게 한다.
줄기마디가 학의 무릎이나 소의 무릎 형상인 까닭에 우슬이라 한다. 백배(百倍)라고도 하며 길고 부드러우며 윤기 있는 것이 좋다. 2월, 8월, 10월에 뿌리를 캐 말린다. 십이경맥을 도우며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혈액을 생성하는 효능이 있다. 다른 약을 허리나 다리 쪽으로 이끄는 효능이 있다.
각노오수건양단(却老烏鬚健陽丹)은 우슬, 하수오, 적복령, 백복령, 토사자, 파고지를 가루내 알약으로 만들어 복용하는 것으로 백발을 검게 하는 효능이 있다”고 기록돼 있다.
▲효능 1. 신장과 간장을 건강하게 하며 탈모를 치료한다
우슬은 신장과 간장을 건강하게 하며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혈액을 생성하는 효능이 있어 머리가 희는 것을 방지하고 탈모를 치료한다. 신장과 간장을 건강하게 하며 근육과 뼈를 건강하게 하는 효능이 있어 요통, 무릎관절통, 하지저림을 치료한다.
▲효능 2. 혈액순환을 촉진하며 어혈을 제거한다
우슬은 혈액순환이 잘 되지 않거나 어혈이 정체돼 있는 질병을 치료한다. 월경불순, 생리통, 폐경, 산후어혈복통, 타박상 등을 치료한다.
▲효능 2. 인체의 상부로 오르는 열을 떨어뜨린다
우슬은 다른 약을 인체의 하부로 인도하며 인체의 상부로 달아오르는 열을 떨어뜨리는 효능이 있다. 토혈, 코피, 치통, 두통, 어지럼증 등을 치료한다.
◇주의사항
임신부와 월경이 지나치게 많은 사람은 복용을 주의한다.
◇우슬의 배합례
1. 하수오, 숙지황, 복분자 등을 배합해 탈모를 치료한다. 2. 도인, 홍화, 당귀, 천궁 등을 배합해 생리통을 치료한다. 3. 측백엽, 생지황 등을 배합해 토혈, 코피를 치료한다. 4. 구맥, 활석 등을 배합해 혈뇨를 치료한다. 5. 두충, 독활, 상기생 등을 배합해 요통, 무릎관절통 등을 치료한다.
◇우슬의 응용
1. 물 1리터에 우슬 10g을 넣고 30분 정도 끓여 차로 마신다. 2. 술에 담그거나 환 또는 가루를 내 먹는다. 3. 칼 따위에 베인 상처에 우슬을 짓찧어 붙여 치료한다.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