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수리부위 지루성탈모의 한방치…
지루성탈모를 치료하는 소염약침
지루성탈모의 한방치료
지루성탈모에 해로운 음식과 음…
 



한의원소개 > 언론속의약침한의원
 
[국민일보 기획연재-쿠키 건강칼럼] [탈모 동의보감] 컴퓨터를 지나치게 쓰면 탈모가 생긴다고?
2012-02-16
6,115
 
업데이트 : 2011-12-15 11:08:01
[탈모 동의보감] 컴퓨터를 지나치게 쓰면 탈모가 생긴다고?
글·강대희 원장(구리시 약침한의원)

[쿠키 건강칼럼] 30대 남성 A씨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업무를 하는 직장인이다. 그는 아침에 출근해서 퇴근할 때까지 하루 8시간 이상, 야근하는 날에는 하루 10시간 이상 컴퓨터 작업을 한다.

컴퓨터를 오래 하다 보니 뒷목이 뻣뻣해지고 어깨가 뭉치면서 눈이 자주 피로하다. 소화불량이 있어 식사 후 더부룩하며 잘 체하고 명치 밑이 답답했다. 컴퓨터를 오래한 날은 두통과 요통이 나타나곤 했다. 상열감이 있어 얼굴로 열이 잘 달아오르고 얼굴과 머리 부위에서 땀이 많이 났다.

잦은 야근이 지속되다보니 1년이 지나자 만성피로가 나타나고 어깨통증이 심해지더니 머리에 기름기가 많아지고 정수리와 앞머리의 모발이 가늘어졌다. 이후 탈모양이 증가해 하루에 100개 이상 빠졌다. 6년이 지나자 정수리에서 앞머리 헤어라인까지 모발이 빠져서 두피가 비치게 됐다.

최근에는 컴퓨터와 스마트폰 사용자가 급증했다. 컴퓨터를 장시간 사용하고 나쁜 자세와 불충분한 휴식, 과도한 업무와 잦은 야근, 스트레스가 누적되면 초기에는 목, 어깨, 팔꿈치, 손목에 통증이 나타나고 눈의 피로(충혈, 안구건조증), 두통, 위장장애 등이 나타난다. 만약 이러한 증상이 6개월에서 1년이상 지속되면 탈모, 만성피로, 생리불순, 만성 소화불량, 불면증, 우울증 등의 질환으로 발전할 수 있다.

장시간 컴퓨터를 사용해 나타나는 어깨결림과 소화불량은 탈모를 유발하고 악화시킨다. 장시간 컴퓨터를 사용하면 뒷목, 어깨, 심하면 등 근육까지 피로와 경직을 가져올 수 있고 심하면 어깨부위에 통증이 나타난다.

머리나 몸통으로 가는 모든 혈관과 신경은 목을 통과해 지나간다. 따라서 뒷목과 어깨근육이 뭉치면 머리로 올라가는 혈관들이 압박을 받아 두피, 안면, 눈, 귀, 뇌의 혈액순환에 장애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두피로 가는 혈류량이 감소되고 모발의 영양분이 부족해져 두피는 얇고 딱딱해지며 모발은 가늘어지고 탈모양이 증가한다. 이와 함께 두통, 눈 피로, 이명, 건망증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장시간 컴퓨터를 사용해 발생하는 어깨결림을 치료하는 한약은 천궁이다. 천궁은 산형과에 속한 천궁의 뿌리로 혈액순환을 촉진하며 진통하는 효능이 있다. 천궁에 강활, 방풍, 백지 등을 배합하면 더욱 효과적이다. 어깨결림을 치료하는 경혈은 풍지, 후계, 백회, 대저 등의 경혈이 있다.

선천적으로 비위가 약한 사람의 경우 컴퓨터를 하면서 오래 앉아있으면 위가 무력해져 소화불량이 생긴다. 식욕이 저하되면 생성되는 혈액량도 부족해지기 때문에 모발이 가늘어지고 탈모양이 증가한다.

소화불량을 치료하는 한약은 창출, 후박, 산사, 신곡 등이 있다. 소화불량을 치료하는 경혈에는 중완, 족삼리, 합곡, 내관, 태충 등이 있다.

A씨의 경우 어깨결림을 치료하기 위해 천궁, 강활, 방풍 등의 한약을 썼고 소화불량을 치료하기 위해 창출, 후박, 산사, 신곡 등의 한약에 탈모를 치료하는 하수오, 복분자, 상심자, 한련초 등으로 처방한 하수오탕을 복용했다. 또 두피의 혈액순환을 촉진하며 모발에 영양을 공급하는 모발약침과 어깨결림·소화불량을 치료하는 침을 주 2회 시술했다.

모발약침을 16회 시술하자 모발이 굵어지고 탈모양이 급격히 감소됐으며 어깨결림과 눈 피로, 소화불량이 많이 치료됐다. 이후 추가치료로 모발이 많이 굵어져 두피가 가려지고 어깨결림과 소화불량, 두통, 상열감도 함께 치료됐다.

TIP. 컴퓨터 관련 증후군 예방법

1. 장시간 컴퓨터 작업을 할 때는 1시간에 10분 정도 쉬는 것이 좋다. 적절한 휴식이야말로 최고의 예방법이다.
2. 휴식시간에 스트레칭을 한다. 스트레칭은 어깨근육을 풀어주고 근육을 부드럽게 만들어준다. 양손으로 깍지를 끼고 기지개를 켜 근육을 풀어주거나 어깨를 고정한 채 머리를 앞 뒤 양 옆의 네 방향으로 한 번씩 천천히 최대한 기울인다.
3. 어깨가 뭉쳤을 때는 승모근을 손가락으로 가볍게 움켜쥔 뒤 엄지로 강하게, 지그시 누르는 방식으로 주무르면서 뭉친 근육을 푼다. 풍지, 후계, 백회, 대저의 경혈을 마사지 해준다.
4. 컴퓨터를 할 때 귀와 어깨가 일직선을 이루고 고개가 바로 세워진 자세로 작업한다. 모니터와 눈의 거리는 40㎝ 이상으로 유지한다.
5. 최소 1시간 간격으로 6m 이상 먼 곳을 바라봐 눈 근육의 긴장을 풀어준다. 눈을 감고 쉬거나 눈 주변을 가볍게 지압한다.
6. 눈 피로가 심한 경우는 구기자차나 결명자차를 마시면 회복에 도움이 된다.
7. 키보드가 너무 높으면 어깨결림과 통증을 유발할 수 있고 반대로 너무 낮으면 몸이 앞으로 치우쳐 허리에 무리가 갈 수 있다. 키보드에 두 손을 얹었을 때 팔꿈치의 각도가 90〬 내외가 적당하다.
8. 오래 앉아있으면 위가 무력해지므로 식사 후에는 바로 컴퓨터에 앉아 작업하지 말고 30분 정도 걸어 소화를 돕는다.
9. 장시간 컴퓨터 사용으로 소화불량이 나타나면 배에 따뜻한 찜질을 해주거나 손바닥으로 배꼽주변을 시계방향으로 마사지해준다. 중완, 족삼리, 합곡, 내관 등의 경혈을 마사지해준다.
10. 장시간 컴퓨터를 하면 어깨, 두피, 등, 허리, 다리 등에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고 근육이 굳어진다. 따라서 퇴근 후나 주말에 물구나무서기, 줄넘기, 걷기, 달리기, 맨손체조 등의 운동을 하면 두피의 혈액순환을 왕성하게 해 탈모치료에 도움이 된다.
 

[탈모 동의보감] 동의보감에 기록된 탈모에 좋은 음식 
  [탈모동의보감] 비듬으로 인한 탈모에서 해방되기